러시아의 통신사와 요금제 및 특징
현재 러시아에도 여러 이동통신사들이 있지만 인지도가 높은 몇몇 업체로 간추려 요약해 보고자 한다. 한국의 SK텔레콤, KTF, LG텔레콤이라고 할만한 대표적 러시아 이통사들은 메카폰(Мегафон), 비라인(Билайн), 엠떼에스(МТС)가 있다.
이들 러시아 이통사와 요금제 및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러시아 모스크바에 발을 내딛고 '쉐르메쩨보2' 공항을 빠져나와 시내로 들어올 때까지 중간 중간에 보이는 독특한 비라인의 로고들은 조금만 주변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무슨 회사인지는 몰라도 검은색과 노란색의대비를 이룬 그 로고만이라도 기억할 것이다.
현재 비라인은 러시아의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인기몰이 중이며 여타 회사들에 비해 정력적으로 통화 품질을 개선하고 있어 모스크바에서는 엠떼에스와 더불어 타 통신사들 보다 우수한 통신품질을 자랑한다. 더불어 이를 근거로 공격적으로 러시아 시장을 파고들고 있는 중이다.
요금제 |
요금 |
특징 |
시미야 |
- 기본요금 없음 |
- 모든받는전화무료 |
마빌느이 뻰씨아네르 |
- 기본요금 없음 |
- 기본요금없음 |
쁘로쎄 가바랴 |
- 기본요금 없음 |
- 기본요금 없음 |
하추 스까자쯔 |
- 기본요금 없음 |
- 모든 받는전화 무료 |
-같은 비라인끼리 통화가 많을 경우 시미야 요금제 권장.
-자주 거는 특정 전화번호가 몇개 없거나 적다면 마빌느이 뻰씨아네르 권장.
-주위에 비라인 사용자가 많고 패버릿넘버를 신청했다면 쁘로쎄 가바라 권장.
-통화량이 많다면 하루합계 6분째부터 0.60루블인 하루 스까자쯔 권장.
엠떼에스는 빨간 바탕에 흰 계란모양의 단순한 로고가 인상적인 회사이다. 엠떼에스는 통화가격이 비싼 반면에 통화품질은 여타 이통사들에 비해 월등히 좋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교민 및 주제원들, 유학생들은 엠떼에스와 메가폰을 많이 사용하는 편인데 전에는 주로 메가폰을 많이 사용하다가 엠떼에스가 '레드'등의 요금제를 도입하면서 사용자층이 많이 엠떼에스로 이동하고 있다.
요금제 |
요금 |
특징 |
레드 |
-기본요금 없음 |
-기본요금 없음 |
삐에르브이 |
-기본요금 없음 |
-기본요금 없음 |
레드 텍스트 |
-기본요금 없음 |
-기본요금 없음 |
막시 |
-기본요금1,250루블 |
-엠떼에스끼리 통화할때 무료 |
비즈니스 베즈 그라니츠 |
-기본요금 9,110루블 -문자메세지 1.70루블 -모든받는 전화무료 -모든거는 전화 무료 -시외전화 3,000분 무료 -시외전화 3,001분부터 3루블 |
-장점 : 제한없는 통화분량 -9,110루블의 기본요금(월) -15%할인의 국제전화 |
<요금제 선택 Tip>
-통화를 자주하는 사람들이 엠떼에스를 사용하고 있다면 엠떼에스 레드권장.
-주위사람들이 레드나 레드 텍스트 요금제를 많이 사용하고 문자를 많이 보낼 경우 레드 텍스트 권장.
-타서비스 회사로 전화를 자주 걸 경우 삐에르브이 권장.
-엠떼에스로 많이 전화를 걸 경우 막시 권장.
-비즈니스를 하는 이들은 비즈니스 베즈 그라니츠 권장.
메가폰의 2006년 회계보고서를 보면 기업의 순이익은 2005년도의 3억 9,360만 달러에서 2배이상 증가한 8억 1,280만 달러에 이르렀다. 총 거래액 역시 56% 증가했다. 비록 업계 1위는 엠떼에스가 굳건히 고수하고 있지만 성장속도로 따지자면 메가폰이 엠떼에스의 아성을 위협하고 있는 형국이다. 컨설팅 업체 AC&M의 자료에 의하면 올해 3월 메가폰 서비스의 사용자는 3천 1만명 시장의 19.9%를 차지하고 있다.
요금제 |
요금 |
특징 |
븨조브 엑스트림 |
-926 번호로 살 경우 월 4,500루블 |
-495로 시작하는 번호는 보통의 핸드폰 번호(926)와는 달리 보통시내전화처럼 7자리의 숫자만 눌러도 통화가 가능하다(495 - 모스크바 지역번호) |
스뚜젠체스끼 |
-핸드폰 번호로 거는 전화 1분 2.40루블, 2분부터 1.90루블 |
-매월 150개의 문자무료 |
마빌느이 |
-기본요금 없음 |
-기본요금 없음 |
루블료브이 |
-모든받는 전화 무료 |
-기본요금 없음 |
비즈니스를 하는 사람들의 경우 통화량이 많다면 븨조브 엑스트림 권장.
문자를 많이 보내는 학생일 경우 스뚜젠체스끼 권장.
메가폰 회사 번호로만 많이 걸 경우 루블료브이 권장.
시내전화로도 자주 걸고 타 서비스 회사 번호로도 자주 걸 경우 마빌느이 권장.
러시아 통신시장은 비라인, 엠떼에스, 메가폰 등의 메이저 회사들이 각축을 벌이면서 소비자의 선택권이 다양해졌다. 이는 한국과 마찬가지로 통신시장이 점차 거대해지면서 이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각 통신사들이 빚어낸 산출물들일 것이다. 어찌되었던 그럴수록 소비자 입장에서는 이것저것 조목조목 따져보고 선택해야만 자그만한 손해라도 방지할 수 있을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