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없는 평원의 나라로의 여행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끝없는 평원의 나라로의 여행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920)
    • 러시아 2프로 부족할때 (416)
      • 독립국가연합(CIS) (58)
      • 러시아어 길라잡이 (33)
      • 러시아 음악과 가수 (105)
      • 러시아 영화 때려잡기 (3)
    • 지금 러시아에서는 (493)
    • 러시아 투어가이드 (175)
    • 러시아의 기술동향 & 상품 (91)
    • 어느날 러시아에서 (76)
    • 러시아 음식레시피 (8)
    • 러시아 영화 때려잡기 (53)
    • 러시아 문학과 예술 (21)
    • KoreanWave(Корейская волна) (30)
    • 세계는 지금 (107)
    • 어줍짢게 먼저 써보기 (43)
    • 하루하루 살아가며 (171)
    • ONLINE & OFFLINE STORY (216)
      • 블로그 카툰 (4)
      • 블도자 시리즈 (38)
    • 주간 SNS (2)
    • 세계여행 (15)

검색 레이어

끝없는 평원의 나라로의 여행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러시아

  • 러시아 프로배구리그의 미녀 선수들

    2012.01.18 by 끄루또이'

  • 영하 50도의 동토에서 죽은 암컷을 지킨 '야쿠츠크의 하치코'

    2012.01.16 by 끄루또이'

  • 러시아의 설날 '스따르이 노브이 고드(Cтарый Новый год)'

    2012.01.16 by 끄루또이'

  • 늙지않는 뉴스앵커, 예까쩨리나 안드레예바

    2012.01.13 by 끄루또이'

  • 2012년 새해 눈오는 날의 붉은광장

    2012.01.11 by 끄루또이'

  • 러시아 영화관에 도입된 멋진 자리찾기 아이디어

    2012.01.09 by 끄루또이'

  • 모스크바의 밤을 화려하게 수놓은 '알파쇼 4D'

    2012.01.05 by 끄루또이'

  • 러시아 군대 그리고 새로운 전투식량 살펴보기

    2012.01.05 by 끄루또이'

러시아 프로배구리그의 미녀 선수들

러시아 프로 배구리그 경기장면 몇 컷 소개해봅니다. 그랑프리세계여자배구대회 등의 국가대항전 경기를 즐겨보시는 분들이라면 세계적인 공격수이자 미녀선수로 잘 알려진 러시아 국가대표 예까쩨리나 가모바(202cm, 파란색 유니폼 11번)를 알아보시는 분들도 계실듯. 파워블로거가 되고 싶어? 한국 훈남이 일본에서 똥남이 된 사연 -남녀혼탕 만족도는 얼마? 혼욕에 대한 일본 앙케이트 조사! -소녀시대, 일본 패션의 상징 109를 점령하다! -소녀시대 일본 AV 패러디, 승자는 일본 제작사? -일본에 전차남이 많은 이유는? -일본, 한국 영어를 부러워하다. -KBS 블랙리스트 사건, 일본의 쓴소리 개그맨이 부러운 이유! -일본, 여장을 즐기는 남자가 뜬다!

어느날 러시아에서 2012. 1. 18. 11:45

영하 50도의 동토에서 죽은 암컷을 지킨 '야쿠츠크의 하치코'

'하치 이야기'라는 영화를 기억하는 이들이 있을것이다. 지난 1987년에 일본에서 제작되었고 2009년에 헐리우드에서 리메이크 된 작품이다. 이 영화가 당시 관객들에게 감동을 준것은 일본에서 있었던 반려견의 실화를 바탕으로 했기 때문이다. 원작 영화의 내용은 영화 대학 교수인 우에노 박사와 아키다견 하치코의 교류를 그린 영화다. 하치코는 죽은뒤 동상이 된 지금도 시부야 거리의 만남과 이별의 상징물이 되어 두고두고 회자되는 중이다. 이와 비슷한 사례가 러시아 동시베리아 사하자치구 수도 야구츠크에도 있었다. 차이점이라면 인간과 반려견의 이야기가 아니라 수컷과 암컷 한 쌍의 이야기라는 것이 다른점이다. 지난해 말 야쿠츠크 지역 언론을 시작으로 러시아 언론은 거리에서 죽은 암컷을 떠나지 못하고 지키는 수컷 견공..

지금 러시아에서는 2012. 1. 16. 19:36

러시아의 설날 '스따르이 노브이 고드(Cтарый Новый год)'

매년 1월 13일과 14일은 러시아의 설날 기간입니다. 율리우스력(태음력)으로 1월 1일인 이날을 러시아어로 '스따르이 노브이 고드(Cтарый Новый год)'라고 부르는데요. 직역하자면 '예전 새해'라는 의미입니다. 우리말로 의역하자면 '설날'이자 '구정'인 셈입니다. 다만 우리나라 설날이 민족의 명절인 반면에 러시아의 설날은 그저 기억속의 명절이라는 것이 다르겠습니다. 더불어 1918년 러시아가 새로운 달력을 채택한 이후로 역사속으로 사라진 명절입니다. 러시아 정교신자들은 일반적으로 이 기간을 바실리예프의 날(바실리의 날, Васильев день, Василь-день)이라고도 부르는데요. 바실리예프는 고대 러시아 시절(루씨 시대) 정교 성인입니다. 설날 전날을 '바실리예프의 저녁'이라고도 부..

러시아 2프로 부족할때 2012. 1. 16. 17:14

늙지않는 뉴스앵커, 예까쩨리나 안드레예바

예까쩨리나 안드레예바는 자타공인 러시아 최고의 방송 진행자이다. 쉬꼴라(러시아 초중고)시절 농구선수로도 활약했던 안드레예바는 90년 대학을 졸업하고 최초의 사회생활을 법무장관 사무실 조사분과에서 시작하게 된다. 하지만 91년부터 방송사 오스탄키노의 주력 아침프로그램 '도브로예 우뜨러'를 맡이며 방송인으로 본격적인 커리어를 쌓게 된다. 이후 1995년 방송사 '오.에르.떼'의 간판 뉴스프로그램 '노보스찌'의 앵커로 활동하면서 방송사를 대표하는 인물로 발돋움하게 된다. 1998년부터는 '브렘야'라는 뉴스프로그램을 맡아 진행하면서 러시아를 대표하는 진행자로 이름을 알리게된다. 그래서인지 대선관련 방송 프로그램의 단골 진행자로도 유명하다. 안드레예바는 출중한 뉴스진행 실력 외에 '러시아에서 가장 아름다운 방송진..

지금 러시아에서는 2012. 1. 13. 08:34

2012년 새해 눈오는 날의 붉은광장

러시아 신년연휴 기간 중 모스크바의 중심이자 러시아아의 중심인 붉은광장은 시민들로 넘쳐난다. 가족 및 연인, 친구들은 기념사진을 찍고 스케이트장에서 젊음을 만끽한다. 더불어 국영백화점 굼에 들어가 선물을 사거나 윈도우 쇼핑을 즐긴다. 특히나 눈 내리는 날의 붉은광장 주변은 가장 러시아다운 풍경을 보여준다는 소견이다. 2012년 신년연휴 기간, 신년들어 두번째로 눈이 내렸던 날 붉은광장과 주변 풍경을 이미지로 만나보자. 마네쥐느이 광장에서 바라본 러시아 역사박물관. 역사박물관을 정면으로 바라봤을때 좌측에는 부활의 문이 위치해있고 오른쪽에 끄레믈(크레믈린, 크램린)의 일부가 보인다. 역사박물관을 정면으로 봤을때 좌측, 붉은광장과 마네쥐느이 광장을 잇는 길을 오고가는 시민들의 모습이다. 저멀리 흐릿하게 레닌묘..

지금 러시아에서는 2012. 1. 11. 01:17

러시아 영화관에 도입된 멋진 자리찾기 아이디어

영화관에 갈때 온라인으로 자신의 자리를 직접 골라 예매한다거나 예매시 자신의 좌석 넘버를 숙지하는 것이 아니라면 대체적으로 티켓 구매후 상영관 입구에 붙어있는 좌석배치도를 보고 자신의 자리를 찾아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영화상영이 시작되고 암전된 가운데 자신의 자리를 찾아가는 것은 녹녹치 않다. 먼저와서 자리를 잡은 이들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아야 되고 흐릿한 바닥 조명을 통해 자리를 찾아가야하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이러한 관객을 위해 자리를 찾아주는 영화관 직원들이 별도로 배치되기도 했었고 현재 대부분의 극장은 열마다 바닥조명이 제법 촘촘히 배치되어 편의를 돕는다. 하지만 암전된 상황에서는 역시나 자신의 자리를 찾아가는 것은 애로사항이 있다. 특히나 밤눈이 어두운 이들에게는 여간 난감한 일이 아니다..

지금 러시아에서는 2012. 1. 9. 16:03

모스크바의 밤을 화려하게 수놓은 '알파쇼 4D'

모스크바 국립대학(엠.게.우) 본관 건물에서 화려한 레이저쇼와 불꽃놀이가 펼쳐졌습니다. 이 행사는 러시아 최대 민간은행 '알파 방크'가 주관한 것으로써 수도 모스크바의 도시 건립일과 알파방크 회사 창립 2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행사였습니다. 정식 행사명칭은 '알파쇼 4D'입니다. 그럼 모스크바 밤하늘을 수놓은 화려한 행사풍경을 이미지로 만나보시죠.

지금 러시아에서는 2012. 1. 5. 19:39

러시아 군대 그리고 새로운 전투식량 살펴보기

아무리 환경이 좋아졌다고 해도 군 복무는 고달플수 밖에 없다. 이는 현역으로 최전방에서근무했건 짧은기간동안 국가기관에서 대민지원 업무를 봤건간에 공통적인 현상이겠고 이는 국가를 초월한 것일게다. 세계의 군대를 이야기할때 가장 열악한 군복무 환경을 이야기할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사례가 러시아 군대이야기이다. 물론 안좋은 예다. 러시아인들도 러시아의 군대환경이 후진적이라는 것에는 대체적으로 인정한다. 미국에 이어 군사력 순위 2위권인 러시아의 군복무제도는 기본적으로 징병제이며 부분적으로 모병제를 혼합해 운영하고 있다. 2008년 이전까지 러시아의 군 복무기간은 육군의 경우 만 2년으로써 우리나라의 현재와 같았으나 2008년 부터 1년으로 줄였다. 물론 신체적 결함이 있다면 면제사유가 된다. 이외에 예외가 ..

러시아 2프로 부족할때 2012. 1. 5. 07:0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91
다음
TISTORY
끝없는 평원의 나라로의 여행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