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없는 평원의 나라로의 여행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끝없는 평원의 나라로의 여행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920)
    • 러시아 2프로 부족할때 (416)
      • 독립국가연합(CIS) (58)
      • 러시아어 길라잡이 (33)
      • 러시아 음악과 가수 (105)
      • 러시아 영화 때려잡기 (3)
    • 지금 러시아에서는 (493)
    • 러시아 투어가이드 (175)
    • 러시아의 기술동향 & 상품 (91)
    • 어느날 러시아에서 (76)
    • 러시아 음식레시피 (8)
    • 러시아 영화 때려잡기 (53)
    • 러시아 문학과 예술 (21)
    • KoreanWave(Корейская волна) (30)
    • 세계는 지금 (107)
    • 어줍짢게 먼저 써보기 (43)
    • 하루하루 살아가며 (171)
    • ONLINE & OFFLINE STORY (216)
      • 블로그 카툰 (4)
      • 블도자 시리즈 (38)
    • 주간 SNS (2)
    • 세계여행 (15)

검색 레이어

끝없는 평원의 나라로의 여행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이변은 없었다!' 김연아 우승에 대한 러 언론의 반응

    2010.02.26 by 끄루또이'

  • 기록적인 폭설이 내린 모스크바 중심가 풍경

    2010.02.25 by 끄루또이'

  • 러언론 김연아 격찬 '한국의 007요원 세계를 강타하다'

    2010.02.24 by 끄루또이'

  • 김연아가 메달을 못딴다면 기업 후원이 끊긴다?

    2010.02.24 by 끄루또이'

  • 밴쿠버 올림픽을 대하는 러시아 언론의 자세

    2010.02.18 by 끄루또이'

  • 동계올림픽 국가대표 선수들에게 응원메시지를 전해주세요

    2010.02.17 by 끄루또이'

  • 리치몬드 올림픽 오벌 경기장 (Richmond Olympic Oval) 전경

    2010.02.17 by 끄루또이'

  • 러시아 국민주(酒) 보드카의 생일은 언제일까?

    2010.02.01 by 끄루또이'

'이변은 없었다!' 김연아 우승에 대한 러 언론의 반응

판정의 옳고 그름을 떠나 쇼트트랙 3,000m 여자 계주팀의 실격처리는 지난 하루 동안 답답한 소식으로 다가왔던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국민들의 이러한 답답한 마음을 한번에 해소시켜준 것은 역시나 김연아 선수의 금메달 소식입니다. 그것도 전날 쇼트트랙 계주경기가 열렸던 바로 그 경기장에서 말입니다. 익히 알다시피 김연아 선수는 여자 피겨 싱글 부문에서는 당분간 깨지기 힘든 228.56점이란 신기록을 세우면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습니다. 더불어 여자 피겨 싱글에서 최초로 그랜드슬램(세계선수권대회, 4대륙 선수권, 그랑프리 대회, 올림픽 석권)을 세우는 기록도 동시에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이번 올림픽 여자 피겨 싱글부문에서 전체적으로 점수가 다소 후하다는 느낌은 있습니다만, 김연아 선수의 연기는 이 점..

지금 러시아에서는 2010. 2. 26. 15:46

기록적인 폭설이 내린 모스크바 중심가 풍경

러시아의 수도 모스크바에 기록적인 폭설이 내렸습니다. 러시아 기상청 발표에 의하면 20일부터 3일간 내린 눈의 양은 무려 63cm입니다. 종전 기록인 1966년의 62cm를 갈아치운 기록인데요. 이쯤되면 무지막지한 혼란이 예상될거라 보시는 분들이 많을겁니다. 물론 눈의 무게를 못견디고 무너진 건물이나 자잔한 사건사고는 있었을지언정 모스크바 현지사정은 혼란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제설작업에 있어서 러시아는 세계최고 수준을 자랑하기 때문입니다. 동토의 나라, 겨울의 나라답죠? 모스크바에서는 폭설이 내리는 기간동안 제설작업 차량 2만 5천대와 5,500명 인력을 투입해 모스크바 전역의 도로에 쌓인 눈을 치우는 작업을 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이야기를 하자면 언제 폭설이 내렸는지 모를정도로 도로 사정은 이전..

지금 러시아에서는 2010. 2. 25. 10:01

러언론 김연아 격찬 '한국의 007요원 세계를 강타하다'

동계올림픽에서 가장 화려한 종목이자 올림픽의 꽃이라 불리우는 피겨스케이팅 종목 첫날 쇼트프로그램 경기가 끝난 직후 러시아 언론들도 관련 사항에 대해 비중있게 다루고 있습니다. 대체적인 반응은 전세계 해외 언론사들 기사 내용과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김연아 선수의 세계 신기록 소식을 골자로 해서 자국 선수에 대한 소식, 쇼트프로그램과 관련된 기술적인 부분에 대한 분석 등이 주요 내용입니다. 다만 전체 기사수에서 보면 김연아 선수 소식과 러시아 자국 선수관련 기사의 비중이 별반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는데요. 아무리 김연아 선수가 세계기록을 세우며 선전했다고는 하지만 자국선수들 소식과 별반 차이없는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은 이채롭습니다. 러시아에서 이번 피겨 싱글종목에 출전한 선수 중 가장 높은 순위(8..

지금 러시아에서는 2010. 2. 24. 18:21

김연아가 메달을 못딴다면 기업 후원이 끊긴다?

2010 벤쿠버 동계올림픽 12일차, 빙속 10,000m 에서 이승훈 선수가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며 한국에 4번째 금메달을 선사했습니다. 24일 오전시간대는 이 소식이 주요 뉴스가 되어 퍼지리라 봅니다. 하지만 이 기념비적인 금메달 소식을 뛰어넘는 이슈가 오후에 기다리고 있습니다. 바로 김연아 선수가 출전하는 쇼트프로그램(오후 1시) 경기가 있기 때문입니다. 본인이 원했건 원하지 않았건간에 이번 올림픽 한국대표팀의 '얼굴'로 인식되고 있는 사람은 김연아 선수입니다. 미디어들과 포털들에서는 김연아의 연습풍경부터 해외언론의 반응, 라이벌 선수의 동향 등 김 선수의 일거수 일투족을 세세하게 보도하고 있습니다. 물론 그만큼의 독자 수요도 충분해 보입니다. 더불어 이전에도 그랬지만 올림픽 기간중, 특히 올림픽 종..

지금 러시아에서는 2010. 2. 24. 09:47

밴쿠버 올림픽을 대하는 러시아 언론의 자세

러시아 포탈 얀덱스(yandex)의 동계올림픽 종목 섹션에 등장한 한국 선수들(좌측부터 이상화, 이정수, 모태범). 얀덱스에서는 선수 개인 페이지가 별도로 있어 간략한 정보(국적,생년월일,기록)까지 볼 수 있다. 이번 2010 벤쿠버 동계올림픽에서 전통의 스포츠 강국 러시아의 초반 성적은 그리 높지 않습니다. 17일 현재 스피드스케이팅 5,000m에서 이승훈 선수에 이어 3위로 골인한 이반 스코브레프의 동메달 1개가 전부입니다. 물론 이 메달도 러시아 내에서는 전혀 예상치 못한 깜짝 성적이라는 평가입니다. 러시아는 이번 올림픽에 참여한 91개국 중 19위라는 초반 성적을 내고 있습니다. 메달을 한 개도 못 얻고 돌아가는 나라가 과반수에 가깝기에 이 정도도 무난한 순위이긴 하겠습니다만, 하계 뿐만 아니라 ..

지금 러시아에서는 2010. 2. 18. 11:27

동계올림픽 국가대표 선수들에게 응원메시지를 전해주세요

아래글은 삼성이 진행하는 '두근두근 네티즌 금메달위젯달기' 관련 캠페인에 참여하며 작성한 글입니다. 최근에 2010 밴쿠버 동계 올림픽이 이래저래 화제의 중심입니다. 성적으로만 이야기 하는것은 다소 무리가 있습니다만, 대회 첫날부터 남자 스피드스케이팅 5,000m에서 이승훈 선수의 은메달로 시작해 남자 쇼트트랙 1,500m에서 이정수 선수의 금메달, 남자 스피드 스케이팅 500m에서 모태범 선수가 금메달, 이상화 선수가 여자 스피드 스케이틍 500m에서 금메달을 따내며 점점 더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습니다. 올림픽 일정에서 잠시뿐이긴 하겠습니다만 현재 대한민국의 메달 순위는 독일에 이어 전체 2위에 까지 올라있습니다. 전통의 메달밭인 남녀 쇼트트렉 계주 종목과 피겨스케이팅 싱글 종목이 남아있음을 감안하면 ..

ONLINE & OFFLINE STORY 2010. 2. 17. 17:06

리치몬드 올림픽 오벌 경기장 (Richmond Olympic Oval) 전경

세계는 지금 2010. 2. 17. 10:24

러시아 국민주(酒) 보드카의 생일은 언제일까?

러시아를 상징하는 수많은 키워드 중에 세계에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아무래도 보드카이다. 러시아어 '물'이란 의미의 '바다(вода)'라는 단어의 지소형에서 유래된 이 주류는 누구나 알다시피 러시아가 원산지이며 러시아의 국민주(酒)라고 불리운다. 이러한 칭호는 전체 주류 소비량에서 맥주에 고전을 면치 못하는 현 시점에서도 여전히 유효하며 러시아인들 뿐만 아니라 전세계인이 인정하는 부분이다. 투명 증류주가 인류 역사에 처음 등장한 것은 6~7세기 경이지만 러시아 보드카가 처음으로 등장한 것은 이보다는 늦은 11세기(일부에서는 15세기)라고 알려져 있다. 다만 이후로 한참동안 보드카는 커튼 속에 가려진 비밀의 술이었다. 이는 보드카 제조법이 장인들 손에서 손으로만 내려왔으며 제조법 유출이 엄격히 금지되어 널..

러시아 2프로 부족할때 2010. 2. 1. 01:1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79 80 81 82 83 84 85 ··· 240
다음
TISTORY
끝없는 평원의 나라로의 여행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