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러시아의 기술동향 & 상품

[나로호 발사 성공에 부쳐] 러시아의 우주항공 비즈니스에 대해

© Фото: лужба информации и общественных связей ГКНПЦ им.М.В.Хруничева  

냉전시대 우주항공 분야에 대해 농담처럼 회자되던 것이 ‘우주로 내보내는 것은 러시아가 최고, 안전하게 귀환시키는 것은 미국이 최고’라는 표현이 있었다. 공산주의 국가였던 당시 러시아를 다소 비아냥 대는 면도 없잖아 있지만 반대로 이야기 해서 우주항공 분야에 대해 러시아의 기술에 대해 인정하는 표현이기도 했다.

냉전시대 미국을 필두로 하는 진영과 대립각을 세우던 국가들의 수장 노릇을 하던 러시아(당시 소비에트 연방 공화국, 소련)는 미국과의 자존심 경쟁에서 밀리지 않기 위해 기를 쓰고 천문학적인 자금을 들여 우주개발에 몰두했었다. 우주항공 분야 뿐만 아니라 ‘첨단’이나 ‘세계최초’라는 타이틀이 들어가는 프로젝트를 미국이 하면 러시아도 하고, 러시아가 하면 미국이 곧이어 시도하던 시대였다.

하지만 90년대 초반 공산주의 체제 붕괴이후 20년 가까이 러시아는 국내 경제적 문제로인해 우주개발에는 힘을 쏟지 못했었다. 아이러니 하게도 미국역시 강력한 경쟁자가 사라진 이후에는 괄목할만한 성과를 보여주지는 못했다. 천문학적인 금액을 들여가며 자존심 싸움을 할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

공산주의 붕괴 이후 러시아는 모라토리움 등의 환란시대에 접어들며 우주개발 분야 인력에 대한 국가의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미국 나사와 각 나라에 관련원천기술을 가진 러시아 과학자들이 상당수 유출되었었다. 하지만 90년대 말 ‘강한 러시아’를 표방했던 푸틴 정부가 들어선 이후 과학자들의 해외 진출에 대해 엄격한 통제를 하는등 기술 인력의 해외 유출에 대한 방비를 진행해 왔으며 해외에 나가있던 과학자들을 애국심과 높은 연봉을 내세워 다시금 불러들이는 작업을 진행해 왔다. 이를 통해 러시아는 2000년대 중반이후 다시금 우주항공 분야에 눈을 돌리게 되었다. 한때 러시아 우주 왕복선의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부품을 싼값에 판매하는 곳이 등장했었고 해외 진출을 하지 못한 우주항공 분야 과학자들이 자신이 가진 기술을 응용해 자잘한 생계형 사업을 하던 분위기에 비하면 비약적인 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지난 세기와 다른점이 있다면 우주항공 분야가 자존심 경쟁이나 군사무기 분야로 응용되는 것이 아니라 막대한 국가 수입원으로 접근을 하고 있다는 것이 다른점일 것이다.

현재 러시아의 우주항공 분야 원천기술과 인프라는 해당분야에 눈을 돌리고 있는 여타 국가들에서 유용한 상품가치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수요에 따라 러시아는 그간 축적된 노하우를 필요국가에 부분적으로 전수하고, 전문 우주인을 훈련시키며, 발사기지 및 우주선이 없는 나라에는 자국 내 발사기지 및 왕복선을 대여하는 비즈니스를 펼치고 있다.

이러한 사례는 멀리 갈것도 없이 이번에 발사하게 되는 나로호(KSLV-1)를 보면 알 수 있다. 지난 2차례의 실패를 딛고 세번째 시도만에 성공한 나로호는 러시아의 이러한 우주항공 비즈니스의 실례라고 할 수 있다. 나로호는 준비 기간 10년, 개발비 5천억 원이 들어갔다. 그 전에는 300억 규모의 국가 예산을 쏟아 대한민국 최초의 우주인인 이소연씨를 탄생시킨 것도 러시아의 인프라를 통해 이루어졌다.

러시아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중국과 인도 등에 우주항공 분야에 대한 공동 개발, 우주인 훈련 및 노하우 전수 등을 통해 상당한 고수익을 올리고 있다. 이러한 러시아의 시도가 ‘우주관광’이라는 비아냥을 받고는 있지만 러시아의 이러한 우주항공 분야의 마케팅은 수요 국가들에게 꽤나 호응을 받고 있는 중이다.

이러한 러시아의 우주항공 비즈니스는 과거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거나 타국에 비해 앞서가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에 가지고 있는 원천기술과 인프라를 이용한 우주항공 분야 마케팅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장사꾼이 자신의 밑천을 모두 보여주지 않듯이 러시아 역시 ’3차 발사 조항(기본 2회 발사 중 한 번이라도 실패하면 1회는 무상 재발사)’ 조항처럼 AS를 할 지언정 핵심기술(부품)에 대해서는 다소 전수를 꺼리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원래 나로호 개발사업은 발사체 개발과 발사장 운용, 액체 엔진 기술 확보, 시스템 개발 등 3대 목표로 시작되었지만 나로호 공동 개발을 맡은 러시아측과의 협의가 틀어지면서 독자 액체 엔진 기술을 확보하지는 못한것이 이를 반증한다. 하지만 이를 불평등 조약이라고 논하는 것은 우리 입장만 생각한 것일뿐이다. 그렇게 따지면 우리에게 적용된 3차 발사 조항은 전례가 없는 특혜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정부의 방향성이 원래 계획했던 우주기술 축적에 집중된 것이 아니라  ’성공적으로 쏘아 올리는 것’에 맞춰져 있지 않았나라는 느낌은 지울 수 없다. 

이러한 우주항공 상품 외에 최근 러시아가 국가 예산을 대규모 투자해 가열차게 추진하고 있는것이 글로나스(ГЛОНАСС, 세계 위성항법 시스템)이다. 글로나스는 소비에트 공화국(소련)시절 미국의 GPS에 대항하기 위해 시작된 프로젝트이자 시스템이다. 글로나스 시스템은 24개의 위성을 통해 지구상의 위치를 파악해 주는 기능을 합니다. 글로나스는 교통, 물류,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위치 확인에 활용될 수 있다. 러시아가 이에 대해 심혈을 기울이는 이유는 EU의 위성항법시스템인 ‘갈릴레오 프로젝트(한국도 참여중)’와의 합작을 통해 위성항법 시스템의 표준으로 인정받아 국가수익원으로 삼기 위함이다. 역시나 국가 수익원과 연계된 프로젝트이자 비즈니스이다.